대한민국 상공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상공부는 1948년 7월 17일 정부조직법에 근거하여 설치되었으며, 상업, 무역, 공업, 광업, 전기, 수산 등 다양한 분야를 관할했다. 1960년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과 함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을 주도하며 경제 성장의 핵심 부처로 부상했다. 1970년대에는 공업진흥청과 특허청을 외청으로 설치하여 전문성을 강화했고, 1980년대에는 경제 자유화에 대한 요구에 따라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1993년 동력자원부와 통합되어 상공자원부로 개편되었다. 초대 장관은 임영신이었으며, 역대 장관과 차관은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1993년 폐지 - 하나회
하나회는 1951년 육군사관학교 출신 전두환, 노태우 등이 결성한 군내 사조직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관여했으며, 1993년 김영삼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다. - 1993년 폐지 - 심곡본동
심곡본동은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깊은 구지’라는 옛 지명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심곡1동에서 분동되어 부천역을 중심으로 발달된 교통망을 갖추고 2010년 기준 41,107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 - 1948년 설립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1948년 설립 -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는 국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부의 부처이며, 대한민국 국군을 지휘·감독하고 관련 기관을 소속 기관으로 두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국제 협력을 진행한다.
| 대한민국 상공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 상공부 | |
| 기본 정보 | |
| 설립일 | 1948년 7월 17일 |
| 해산일 | 1993년 3월 5일 |
| 전신 | (없음) |
| 후신 | 상공자원부 |
| 산하기관 |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상공부는 정부조직법 [법률 제1호, 1948.07.17 제정] 제14조 및 제22조[1]와 상공부직제 [대통령령 제24호, 1948.11.04 제정] 제1조[2]에 근거하여 설치되었다.
3. 연혁
3. 1. 상공부 설립 (1948년)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상공부'''가 신설되었다.[1] 초대 장관으로는 여성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인 임영신이 임명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장관으로 기록되었다. 초기 상공부는 상무국, 무역국, 공업국, 광무국, 전기국, 수산국 등 6개 국으로 구성되어 상업, 무역, 공업, 광업, 전기, 수산 등 다양한 분야를 관할하였다.
3. 2. 1960년대: 경제 개발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부재함)
3. 3.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
1970년대 대한민국 정부는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상공부는 이러한 정책 방향에 발맞추어 전문성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정책 집행을 위해 조직을 개편하였다. 1973년 1월 16일에는 외청으로 '''공업진흥청'''과 '''공업단지관리청'''을 신설하여 공업 기술 개발 지원 및 공업 단지 관리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후 1977년 3월 12일에는 공업단지관리청을 폐지하는 한편, 기술 혁신과 지식재산권 보호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외청으로 '''특허청'''을 새로 설치하였다.
3. 4. 1980년대: 민주화와 경제 자유화
(내용 없음)
3. 5. 상공자원부로 개편 (1993년)
1993년 3월 5일, 상공부는 동력자원부와 통합되어 상공자원부로 개편되었다. 이는 급변하는 경제 환경에 대응하여 산업 정책과 자원 정책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조치였다.
4. 조직
대한민국 상공부의 조직은 크게 본부와 소속기관, 그리고 정부조직법에 따른 외청으로 구성되었다. 본부 조직은 장관과 차관 아래 여러 실(室), 국(局), 과(課) 및 담당관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경제 발전과 산업 정책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편되었다. 주요 소속기관과 외청의 상세한 구성 및 변천 과정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본부 조직
| 조직명 | 존속 기간 |
|---|---|
| 감사관 | 1977.09 ~ 1993.03 |
| 감사관 | 1970.04 ~ 1973.01 |
| 경리과 | 1948.11 ~ 1955.02 |
| 공보관 | 1973.03 ~ 1993.03 |
| 공보담당관 | 1970.04 ~ 1973.03 |
| 공업국 | 1948.11 ~ 1962.06 |
| 공업기획국 | 1973.01 ~ 1977.03 |
| 공업단지국 | 1977.03 ~ 1981.11 |
| 공업제1국 | 1962.06 ~ 1973.01 |
| 공업제2국 | 1962.06 ~ 1973.01 |
| 공업진흥관 | 1969.12 ~ 1973.01 |
| 광무국 | 1948.11 ~ 1978.01 |
| 국립공업연구소 | 1961.10 ~ 1973.01 |
| 국립광업연구소 | 1967.04 ~ 1973.01 |
| 국립지질조사소 | 1961.10 ~ 1973.01 |
| 국제협력관 | 1987.05 ~ 1993.03 |
| 기계공업국 | 1978.07 ~ 1993.03 |
| 기계공업국 | 1973.01 ~ 1978.01 |
| 기초공업국 | 1981.11 ~ 1993.03 |
| 기초공업국 | 1978.01 ~ 1978.07 |
| 기획관리실 | 1963.12 ~ 1993.03 |
| 기획조정관 | 1961.10 ~ 1963.09 |
| 동력개발국 | 1973.01 ~ 1978.01 |
| 동력국 | 1968.07 ~ 1973.01 |
| 마산수출자유지역관리소 | 1973.01 ~ 1993.03 |
| 마산수출자유지역관리청 | 1970.03 ~ 1973.01 |
| 무역국 | 1948.11 ~ 1950.04 |
| 무역위원회 | 1987.07 ~ 1993.03 |
| 무역조사관 | 1987.05 ~ 1990.04 |
| 비상계획관 | 1987.05 ~ 1993.03 |
| 비서실 | 1948.11 ~ 1950.04 |
| 산업정책관 | 1981.11 ~ 1985.07 |
| 산업정책국 | 1985.07 ~ 1993.03 |
| 상무국 | 1948.11 ~ 1950.04 |
| 상역국 | 1950.04 ~ 1993.03 |
| 섬유공업국 | 1973.01 ~ 1981.11 |
| 섬유생활공업국 | 1981.11 ~ 1993.03 |
| 수산국 | 1948.11 ~ 1955.02 |
| 유통경제관 | 1970.04 ~ 1973.01 |
| 이리수출자유지역관리소 | 1974.12 ~ 1993.03 |
| 전기국 | 1948.11 ~ 1968.07 |
| 전자전기공업국 | 1978.07 ~ 1991.11 |
| 전자정보공업국 | 1991.11 ~ 1993.03 |
| 정밀공업국 | 1978.01 ~ 1978.07 |
| 중공업국 | 1973.01 ~ 1978.07 |
| 중소기업국 | 1968.07 ~ 1993.03 |
| 중앙계량국 | 1961.08 ~ 1973.01 |
| 중앙공업연구소 | 1949.04 ~ 1961.10 |
| 중앙도량형소 | 1949.04 ~ 1961.08 |
| 중앙수산검사소 | 1949.06 ~ 1955.02 |
| 중앙수산시험장 | 1949.04 ~ 1955.03 |
| 중앙지질광물연구소 | 1949.04 ~ 1961.10 |
| 총무과 | 1950.03 ~ 1963.12 |
| 통상진흥관 | 1969.12 ~ 1970.10 |
| 통상진흥국 | 1970.10 ~ 1993.03 |
| 통상협력관 | 1987.05 ~ 1991.11 |
| 통상협력국 | 1991.11 ~ 1993.03 |
| 특허국 | 1949.05 ~ 1977.03 |
| 표준국 | 1961.10 ~ 1973.01 |
| 화학공업국 | 1973.01 ~ 1981.11 |
4. 2. 외청
5. 역대 장·차관
대한민국 상공부의 역대 장관과 차관 명단은 아래와 같다. 이들은 대한민국 경제 정책 수립과 집행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5. 1. 상공부 장관
대한민국 경제 발전 과정에서 상공부 장관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제1공화국 시기에는 임영신, 윤보선, 이재형 등 정치인 출신 장관들이 주로 임명되어 경제 재건과 무역 진흥에 힘썼다. 제2공화국에서는 주요한, 태완선 등 경제 전문가들이 장관직을 맡아 경제 개발 계획 수립에 주력하였다. 박정희 정부 시기에는 박충훈, 김정렴, 이낙선 등 관료 출신 장관들이 장기간 재임하며 중화학 공업 육성과 수출 증진 정책을 추진했다. 전두환 정부와 노태우 정부에서는 김동휘, 금진호, 한승수 등이 장관을 역임하며 경제 정책을 이끌었다.
5. 2. 상공부 차관
(현 충남 금산)부속상업고등학교
(현 서울)
(현 경남 창원)
(현 서울)
(현 제주 제주)
일본 도시샤대
(현 제주 제주)
일본 도시샤대
(현 서울)
(현 서울)
(현 서울)
(현 서울)
(현 평남과 분리)
사우스웨스턴대
(현 서울)